Skip to main content

근골격계 유해요인조사

 정기적인 근골격계 유해요인조사를 실시하고,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개요

근골격계부담작업 유해요인조사는 안전한 작업방법으로 안전한 현장을 만들기 위한 첫 걸음입니다. 위더스세이프티는 근로자의 작업 형태 등을 파악·조사해 단순반복작업 또는 인체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작업으로 인한 근로자에게 건강장해 발생 위험을 차단하고 있습니다. 단순반복작업 또는 인체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작업으로 인한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정기적인 근골격계 유해요인조사를 실시하고,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목적

  • 유해요인조사는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근골격계부담작업이 있는 공정/부서/라인/팀 등 사업장 내 전체 작업을 대상으로 유해요인을 찾아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 유해요인조사의 결과는 근골격계질환의 이환을 부정하는 근거 또는 반증자료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근골격계질환 발생요인
    1. 작업장요인 : 부적절한 작업공구, 작업장 설계의자, 책상, 키보드, 모니터 등
    2. 작업자 요인 : 나이, 신체조건, 경력, 작업습관, 과거병력, 가사노동 등
    3. 작업 요인 : 작업자세, 반복성 등
    4. 환경 요인 : 진동, 조명, 온도 등

조사대상

  • 최초 조사 :
    신설된 사업장으로 근골격계부담작업 근로자가 종사하는 경우
  • 수시 조사 :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령」 별표 3에 따라 업무상질병으로 인정받은 경우
    새로운 작업설비 도입
    작업환경 변경
  • 정기 조사 :
    근골격계부담작업 근로자가 종사하는 경우

조사 실시시기

  • 최초 조사 : 신설일로부터 1년 이내
  • 수시 조사 : 지체없이
  • 정기 조사 : 최초유해요인조사를 완료한 날부터 매 3년마다 주기적으로 실시

조사내용

유해요인 기본조사의 내용은 작업장 상황 및 작업조건 조사로 구성됩니다.

  • 작업장 상황조사 내용
    1. 작업공정
    2. 작업설비
    3. 작업량
    4. 작업속도 및 최근 업무의 변화 등
  • 작업조건조사 내용
    1. 반복성
    2. 부자연스런 또는 취하기 어려운 자세
    3. 과도한 힘
    4. 접촉스트레스
    5. 진동 등

조사절차

  • STEP 01 : 사전준비
    1. 사업장 기본 정보 작성 및 예비조사
    2. 컨설팅 범위 및 세부 일정 협의
    3. 컨설팅 일정 확정 및 공정/단위작업 파악
  • STEP 02 : 서류검토
    1. 유해요인조사 실시 계획서 작성
  • STEP 03 : 현장점검
    1. 컨설팅팀 현장점검
    · 작업과 관계되는 유해요인 파악
    · 유해요인 기본조사 실시 (관리감독자, 근로자, 전문가가 모두 참여)
    · 근골격계질환 증상 설문조사 실시
    · 필요에 따라 OWAS, RULA, REBA, NLE 와 같은 정밀조사도구를 활용
  • STEP 04 : 보고서 작성·제출
    1. 현장에 적용 가능한 개선대책 실시
    2. 유해요인조사 결과에 대한 종합 보고서 제출

※인간공학적 평가도구

개요

근골격계부담작업 유해요인조사는 안전한 작업방법으로 안전한 현장을 만들기 위한 첫 걸음입니다. 위더스세이프티는 근로자의 작업 형태 등을 파악·조사해 단순반복작업 또는 인체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작업으로 인한 근로자에게 건강장해 발생 위험을 차단하고 있습니다. 단순반복작업 또는 인체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작업으로 인한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정기적인 근골격계 유해요인조사를 실시하고,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목적

  • 유해요인조사는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근골격계부담작업이 있는 공정/부서/라인/팀 등 사업장 내 전체 작업을 대상으로 유해요인을 찾아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 유해요인조사의 결과는 근골격계질환의 이환을 부정하는 근거 또는 반증자료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근골격계질환 발생요인
    1. 작업장요인 : 부적절한 작업공구, 작업장 설계의자, 책상, 키보드, 모니터 등
    2. 작업자 요인 : 나이, 신체조건, 경력, 작업습관, 과거병력, 가사노동 등
    3. 작업 요인 : 작업자세, 반복성 등
    4. 환경 요인 : 진동, 조명, 온도 등

조사대상

  • 최초 조사 :
    신설된 사업장으로 근골격계부담작업 근로자가 종사하는 경우
  • 수시 조사 :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령」 별표 3에 따라 업무상질병으로 인정받은 경우
    새로운 작업설비 도입
    작업환경 변경
  • 정기 조사 :
    근골격계부담작업 근로자가 종사하는 경우

조사 실시시기

  • 최초 조사 : 신설일로부터 1년 이내
  • 수시 조사 : 지체없이
  • 정기 조사 : 최초유해요인조사를 완료한 날부터 매 3년마다 주기적으로 실시

조사내용

유해요인 기본조사의 내용은 작업장 상황 및 작업조건 조사로 구성됩니다.

  • 작업장 상황조사 내용
    1. 작업공정
    2. 작업설비
    3. 작업량
    4. 작업속도 및 최근 업무의 변화 등
  • 작업조건조사 내용
    1. 반복성
    2. 부자연스런 또는 취하기 어려운 자세
    3. 과도한 힘
    4. 접촉스트레스
    5. 진동 등

조사절차

  • STEP 01 : 사전준비
    1. 사업장 기본 정보 작성 및 예비조사
    2. 컨설팅 범위 및 세부 일정 협의
    3. 컨설팅 일정 확정 및 공정/단위작업 파악
  • STEP 02 : 서류검토
    1. 유해요인조사 실시 계획서 작성
  • STEP 03 : 현장점검
    1. 컨설팅팀 현장점검
    · 작업과 관계되는 유해요인 파악
    · 유해요인 기본조사 실시 (관리감독자, 근로자, 전문가가 모두 참여)
    · 근골격계질환 증상 설문조사 실시
    · 필요에 따라 OWAS, RULA, REBA, NLE 와 같은 정밀조사도구를 활용
  • STEP 04 : 보고서 작성·제출
    1. 현장에 적용 가능한 개선대책 실시
    2. 유해요인조사 결과에 대한 종합 보고서 제출

※ 인간공학적 평가도구